안녕하세요! 오늘은 선모충병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흔한 질병은 아니지만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선모충병 증상
선모충병을 유발하는 증상의 심각성은 감염 단계와 섭취한 고기 안에 있는 기생충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아무런 증상도 전혀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염된 고기를 먹고 1~2일이 지났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가벼운 설사, 메스꺼움, 구토, 복통이 있을 수 있다.
감염된 고기를 먹은 후 2주 내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대 8주까지 지속될 수 있다.
얼굴과 눈 주변의 부기, 근육통, 열, 두통, 피로, 피부가려움증, 오한, 기침, 설사, 변비 등.
선모충병 원인
선모충병의 원인은 트리치넬라(trichinella) 유충으로 오염된 덜 익은 고기를 먹었을 때 발생한다.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종은 트리치넬라 스피랄리스(Trichinella spiralis)이다.
T.spiralis는 사람이 돼지 고기에서 가장 찾을 수 있는 종이다. 유통업자들이 돼지 고기를 전 세계적으로 판매함에 따라, 트리 시노시스는 넓은 유통망을 갖고 있다.
Trichinella의 다른 종인 T.Britovi와 T.papuae도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사람이 감염된 고기를 섭취한 후에 유충은 소장으로 들어가서 기생 및 번식을 시작하고 암컷 기생충은 유충을 소장으로 내려 보내고 근육에 도달한 후에 오랜기간 기생하면서 서식하게 된다.
선모충병 진단
선모충병은 다른 위장 질환과 증상들이 비슷할 수 있어서 선모충병을 정확하게 진단하는게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그 증상은 독감과도 비슷하고 위장질환이 아닌 다른 질환과도 증상이 비슷할 수 있어서 쉽게 진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선모충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을 할 수 있는데 이는 기생충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고 이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근육 조직 검사를 통해서도 진단 가능하다.
만약 증상이 음식을 매개로 한 질병에 의심이 든다면 날고기나 덜 익은 고기를 먹었는지 질문을 받을 수도 있다.
선모충병 치료
선모충병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생충 감염치료 및 증상완화를 위한 처방을 받게된다.
선모충병의 진단이 내려지면 즉시 치료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감염 후 3일 이내에 선모충병이 진단된다면 근육에 기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어서 병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Trichinella는 기생충이기 때문에 의사는 알벤다졸이나 메벤다졸과 같은 구충제를 처방받rpr되고 가벼운 감염단계라면 적절한 치료를 통해 2~6개월 내에 치료가 될 수가 있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몇 달 안에 자연치료가 되어 별도의 치료가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치료가 부족하게 되면 심각한 감염을 초래할 수도 있다. 심장이나 뇌 합병증같은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 시력이 안 좋아질 수도 있다.
선모충병 위험요소
야생동물의 고기나 돼지 고기를 날것이나 덜 익은상태로 섭취하게 되면 감염이 되기 쉽고 그 냥이 적더라도 감염된 고기를 먹는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누구든지 선모충병에 감염될 수 있지만 다음 조건의 사람들은 위험성이 커진다.
-65세 이상의 성인들
-5세 미만의 아동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
-임산부
선모충병 예방
선모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기를 안전한 온도로 요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식품 온도계는 사람들이 언제 고기가 완전히 익었는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날고기를 만진 후에 따뜻한 물과 비누로 손을 씻으세요.
-매번 사용한 후에 고기 분쇄기를 철저하게 세척하는 해야한다.
#선모충병 증상 #선모충병 진단 #선모충병 치료 #선모충병 예방 #선모충병 위험요소
담낭염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합병증 식이요법 위험요소 (0) | 2020.09.25 |
---|---|
성인ADHD /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자연요법 식이요법 좋은영양제 좋은운동 (0) | 2020.09.25 |
지중해식 식단은 치매 및 알츠하이머 등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 (0) | 2020.09.25 |
알레르기성 눈 질환의 종류 원인 증상 및 관리방법 (0) | 2020.09.25 |
대사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식이요법 위험인자 약물치료 (0) | 2020.09.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