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자폐증 증상들은 어린이들의 증상과 다를 수 있고 많은 성인들은 수년간 그들의 증상과 함께 사는 법을 배우며 살아왔기 때문일 수도있다.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는 가장 흔한 신경 발달장애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어린시절에 자폐증 진단을 받는데 보통 4살 전후이다. 그러나 일부 성인은 ASD 진단을 받지 못한체로 살아가고 있을 수도 있다. 심지어 더 심각한 증상을 가진 사람들도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하고 살아갈 수도 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포함하여 ASD와 특정 다른 장애 사이에는 몇 가지 유사점이 있다. 또한 ASD진단을 받는 것은 많은 이유로 유용할 수 있는데 특히 정부의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게 크다.
성인자폐증 징후 및 증상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끼며 살아간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관련된 일 그리고 그들의 감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자폐증인 사람을은 또한 융통성이 없는 행동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성인에서 ASD의 일반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 목록과 비슷할 수 있는데요.
-서투름
-대화하기 어렵다
-친밀한 우정을 쌓거나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서로 눈을 맞추는게 어려울 수 있다.
-감정조절을 하는게 어려울 수 있다.
-역사와 같은 특정한 주제에 극단적인 관심을 보인다.
-다른 사람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는 냄새나 소리에 과민반응을 보인다.
-목의 이물감을 제거할때 나는 소리를 내거나 무의식적으로 소음을 낸다.
-행동 패턴이 단순하며 혼자하는 행동을 주로 한다.
-타인의 감정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다.
자폐증인 사람들은 보통 위의 증후 및 증상을 모두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 위 목록에 없는 증상 징후를 보일 수도 있다. 여성에서 자폐적인 특성이 남성들보다 더 조용하고 사회적인 상황에 더 잘 대처하는 것처럼 보여서 결과적으로 여성의 ASD를 진단하는 것이 더 어렵다.
성인자폐증의 진단
성인이 되어 자폐증 검진을 받고 진단을 내리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아서 어린나이에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의사가 인식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살아오면서 겪은 사회성은 자폐의 증상 및 징후를 위장할 수도 있고 관리하는데 능할 수 있게되어 진단이 어렵다. 성인의 ASD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차라리 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네트워크 속으로 들어가는게 낫다. 지역 자폐센터에 연락하는게 좋은 방법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자폐증의 교육
자폐증에 대해 배우는 것은 개인과 사람하는 사람들에게 그것의 상태를 더 잘 이해하게 할 수 있고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이해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성인자폐증의 치료
불안이나 걱정, 업무에서 오는 스트레스 또는 소외감을 느끼는 것을 포함해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치료를 받는 것은 도움이 된다. 자폐증 환잔들을 위한 치료는 개별적으로 혹은 단체으로 모여서 혹은 가족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성인자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직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직업과 업무에 관련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을 전문가들과 혹은 동료들과의 소통을 통해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것들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때로는 처방받은 약은 우울감이나 불안감같은 동반성 질환을 완화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SD#성인자폐증#ASD 징후 증상#ASD치료#ASD진단#ASD교육#ASD
성인ADHD /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자연요법 식이요법 좋은영양제 좋은운동 (0) | 2020.09.25 |
---|---|
선모충병 /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예방 방법 (0) | 2020.09.25 |
지중해식 식단은 치매 및 알츠하이머 등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 (0) | 2020.09.25 |
알레르기성 눈 질환의 종류 원인 증상 및 관리방법 (0) | 2020.09.25 |
대사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식이요법 위험인자 약물치료 (0) | 2020.09.25 |
댓글 영역